
행사도 많고 돈 나갈 곳도 많은 가정의 달 5월입니다. 지자체에서 5% 할인하는 지역상품권을 사두면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겠지요? 5월 3일부터 지역별로 서울 지역 사랑 상품권 판매에 들어가니, 우리 동네 상품권 판매일확인하고 서울페이플러스 에서하고 서울사랑 상품권 득템 하세요~~~ 서울페이플러스 설치하러 가기 서울사랑 상품권 발행 일정 발행일발행시간상품권명 총 발행액 5.7.(화)09:00강남사랑상품권410 억원13:00성북사랑상품권 200 억원 14:00동작사랑상품권 150 억원 15:00강북사랑상품권 150 억원 5.8.(수) 09:00 용산사랑상품권 80 억원 10:00광진사랑상품권 120 억원 11:00중랑사랑상품권 48 억원 12:00도봉사랑상품권 150 억원 13:00 마포사랑상품..

청년들을 주거안정을 위해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 기능과 소득 공제 혜택은 유지하면서 재형 기능을 강화한 청년주택 드림청약 통장을 2월 21일부터 연말까지 신청이 가능 하니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주택드림 청역 통장 가입가능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기업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경남은행 신청자격 ◆ 나이 : 만 19~34세 ☞ 만 나이 계산기 ※ 병역증명서에 의한 병역 이행기간이 증명되는 경우 현재 연령에서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을 빼고 계산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소득 기준 : 연 5,000만 원 & 무주택자 ※ 직전 연도 신고 ◆ 청년주택드림 대출 소득기준 : 미혼 연 7,000만 원, 기혼 연 1억 원 이하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청년 주택드림 청..

지방자치단체 청년센터를 활용하여 구직단념청년을 대상으로 구직의욕 고취 및 자신감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취업시작에 참여 및 취업촉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단기과정 이수시 50만 원, 중장기과정 이수시 최대 250만 원의 수당을 지급해 드립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 신청하기 지원대상 ● 지방자치단체 및 구직단념청년 등 - (지방자치단체) 광역, 기초 * 수도권(서울 13, 인천 6, 경기 7) 26개/부산 4개, 울산 4개/대구 5개, 경상 8개/광주 3개/전라 8개/대전·세종·충청 8개/강원 5개/제주 1개 등 총 72개 - (구직단념청년 등) 구직단념청년, 자립준비청년, 청소년쉼터 입·퇴소 청년, 북한이탈청년 등 주요 내용 ● 지방자치단체(운영비), 구직단념청년(수당 등) - (구직단념..

2월 1일부터 전세사기 피해자가 일일이 각 기관을 찾아다니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원신청 원스톱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전세피해지원센터에 방문하여 기초·법률상담 후, 보증금 지금 명령 또는 보증금 반환 청구소송 등 법적조치 비용도 소급 지원 가능하다고 하니, 잘 읽어보시고 피해를 줄여보시기 바랍니다. 전세사기피해지원 프로그램 바로가기 1. 대상 및 지원내용 지원대상 ● 국토부 전세사기피해자(등) 결정문 소지자 지원내용 ● 전세사기피해자(등)이 기지출한* 집행권원확보 조치 비용 등에 대한 지원 지원한도 ① 법무사 ·변호사 수임료 : 지급명령 40만 원, 전세보증금 반환소송 100만 원 ② 나홀로 소송 인지 ·송달료 : 지급명령 40만 원, 전세보증금 반환소송 100만 원 ※ 집행권원 확보 비용(지급명령..

24년 2월 1일부터 근로자 휴가지원이 기업에서 내는 적립금 비중을 확대하여 실시하게 됩니다. 1인당 40만 원까지 지원이 된다고 하니, 휴가 가실 근로자 분들은 꼭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근로자 휴가지원금 신청하러 가기 근로자휴가지원금 신청결과조회 지원대상● 중소 · 중견기업, 소상공원, 비영리 민간단체, 사회복지 법인 · 시설근로자 ● 소상공인 및 사회복지법인 · 시설에 한해 대표도 참여 가능 ● 대표 및 법인등기부등본상 임원은 참여 제외 - 단, 법인이 아닌 중소기업, 비영리민간단체는 대표자만 참여 제외 ※ 기업구분과 상관없이 전문직 종사자는 참가 불가 지원내용 지원금● 휴가적립금 1인당 40만 원 (정부, 기업, 근로자 공동 부담)● 정부 10만 원 + 기업 10만 원 + 근로..

국토 교통부는 한국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인 K-pass를 금년 5월부터 출시하여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 시민층 부담을 대폭 완화할 계획입니다. 수도권 서울 · 경기 · 인천 3개의 지자체를 포함하여 전국 17개 시도(189개 시 · 군 · 구)와 협의를 완료하였다고 합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들은 이용약관 및 회원 전환 등, K패스 동의 절차가 진행됩니다. K패스 카드 발급하러 가기 K-pass 카드 (케이패스/K패스)의 특징 ◆ 만 19~34세 청년 매월 대중교통 비 30% 환급(최대 60회)◆ 일반 20%/청년 30%/ 저소득층 53% - 월 15회 이상 이용◆ 전국 17개 시도( 189개 시 · 군 · 구) ◆ K패스는 전국에서 이용가능, 시내버스, 지하철 외 광역버..